색온도란 ?
쉽게 말해 태양빛은 공기중 산란을 통해 색이 표현 됩니다.
그리고 온도에 따라 빛의 색은 달라집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태양빛 혹은,,,주광용 필름(데이라이트) 은 5600K 에 맞춰져 있습니다.
5600K 은 일상적으로 한낮의 색온도라 생각하시면 되고 흰빛입니다.
실제의 색온도 > 카메라의 색온도 : 사진의 색온도가 매우 높다 -> 파란 사진이 된다.
실제의 색온도 < 카메라의 색온도 : 사진의 색온도가 매우 낮다 -> 빨간 사진이 된다.
텅스텐, 형광등 모드 : 색온도가 매우 낮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 색온도를 준다. 그러나 밝은 낮에 사용하면 '실제의
색온도 > 카메라의 색온도'이므로 사진이 시퍼렇게 나온다.
daylight 모드 : 색온도가 매우 높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 색온도를 준다.
그러나 어두운 실내에서 사용하면 '실제의 색온도 < 카메라의 색온도'이므로 사진이 빨갛게 나온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대로, 즉 자연스런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밝은 대낮에는 daylight 모드를,
어두운 실내에서는 형광등, 텅스텐 모드를 사용하면된다.
제대로된 화밸을 얻고 싶다면(정확히 눈에 보이는 것과 같은 화밸을 얻고 싶다면)
커스텀 화밸(화이트밸런스프리셋)로 현재의 색온도를 측정하면된다.
색온도와 화밸모드 : 낮음 -> 높음
: Incandescent(백열등) - Fluorescent(형광등) - Fine(맑음) - Cloudy(흐림) - Speedlight(내장후레쉬 발광모드)
실제 색온도가 더 낮으면 사진은 붉게 나오고, 실제 색온도가 더 높으면 사진은 푸르게 나온다.
화이트 발란스란?
화벨이라고도 하며 디지털에서 흰색을 흰색으로 정확하게 잡아 내주기 위한 색온도를 찾아내기 위한것입니다.
색온도가 낮을 수록 붉은색...높을 수록 푸른색으로 갑니다.
어 근데 ??뭐가 이상하죠??? 카메라에서는 색온도를 낮추면 시퍼렇게 되는데 말입니다.
왜그럴까요?
자 그럼 다시 과학시간으로 돌아가봅시다.
빛의색과 물감의 색 혼합 기억나나요? 빛의 삼원색은? 레드,그린,블루 입니다.
그래서 우리 모니터 케이블을 RGB 케이블이라고도 합니다.
색의 삼원색은 파랑 ,노랑 ,자홍색( 사이안,옐로우.마젠타) 입니다.
그 실험 해본분 있는지 모르겠지만....
전구 앞에 각각 빨간셀로판지...녹색 셀로판지...파랑 셀로판지를 대고,,,한군데로 모아보면????
네 그렇습니다.빛은 혼합하면 할수록 흰색이 됩니다.^^
자 여기까지 햇으면 다시 카메라로 돌아가봅시다.
카메라에서 대낮에 켈빈값을 임의로 3000K 정도로 햇다면? 푸른색이 도는 사진이 나옵니다.
+퍼온자료임
'[주말~취미생활] > * 기타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사칭 스펨메일~~~ (0) | 2019.03.08 |
---|---|
수소란 무엇인가? (펌) (0) | 2019.02.08 |
수소란? 특징알아보기...[펌] (0) | 2019.02.08 |
[스크랩] 색체 (0) | 201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