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BF란!!!
1. 정보기기의 조작, 운용, 관리 방법
(1) 운용, 보전 관리의 목표
1) 신뢰성(reliability)의 확보
각 기기들이 규정된 환경 조건하에서 규정된 일정 시간 동안 고장 없이 규정된 성능을 발휘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균 고장 시간을 낮추고, 평균 가동 시간을 늘려야 함
평균 가동 시간 | 수리 완료로부터 다음 고장까지 무고장으로 작동하는 시간의 평균값 |
평균 고장 시간 | 기기 또는 시스템이 장해에 의해 가동하지 못한 상태가 계속된 평균 시간 |
2) 정비 유지성(maintenability)의 확보
규정된 자격의 기술자가 규정된 절차와 기기 및 부품을 사용하여 노후 또는 고장난 제품의 성능을 규정된 수준으로 회복,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정비 간 평균 시간(MTBM)이나 정비율(Maintenance Rate)로 나타냄
① 정비 간 평균 시간 | 기기의 총 운용 시간을 예방 및 고장 정비 획수로 나눈 값으로, 평균 정비 간격이라고도 함 |
② 정비율 | 주어진 기간 동안 직접 정비에 소요된 인력의 누적된 합을 제품의 총 운용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필요한 정비 인력의 척도가 됨 |
(2) 운용, 보전을 위한 기기 분석 방법
1) 시험(testing)
① 규격 시험 | 기기의 재료,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 환경 조건에 대한 적응력 등이 규정된 사항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시험 |
② 신뢰성 시험 | 기기의 시간적 안정성을 조사하는 시험을 말한다. 구체적인 시험 방법으로는 번-인 시험, 환경 시험 등을 사용 |
③ 실용 시험 | 시제품을 가지고 성능, 신뢰성, 타기종과의 정합성, 연동성 등을 평가하여 기기 및 신기술의 구입 또는 채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 |
④ 상용 시험 | 실용 시험을 거쳐 채택된 초기 생산기기에 대하여 실제 업무, 도입, 운용시에 필요한 신뢰성, 정비 유지성을 재확인하는 시험 |
⑤ 환경 시험 | 온도, 습도, 방사능, 전자계, 충격, 진동 등의 자연적/인위적인 조건이 기기의 형태나 성능에 미치는 것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기들이 운용 중 겪게 될 환경조건을 만들어 시험하는 것 |
⑥ 번-인 시험 | 기기의 제조상 결합, 운반 도중의 손상, 조립 과정의 실수 등으로 인한 초기 단계에서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온도, 습도, 진동 등의 환경적인 부하를 가하는 시험 |
2) 검사
① 수입 검사 | 외국에서 수입하는 기기에 대하여 사전에 행하는 수입금지 품목 해당여부 검사, 세관통과를 위한 수출국 정부 해당기관이 발행한 검사 증명서 확인, 세관 통과 후 인수품목에 대한 수입신청기기와의 일치여부 및 기기 성능 검사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 |
② 공정 간 검사 | 기기의 주요 제조 단계별로 규정된 항목을 조사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
③ 완제품 검사 | 최종 단계의 기기 제품에 대하여 외형, 성능 등을 검사하는 방법 |
④ 전수 검사 | 검사대상이 되는 기기에 대하여 하나하나 전부 조사하는 검사 방법 |
⑤ 발췌 검사 | 검사대상 중 일부 품목 또는 소량만을 추출하여 검사한 결과로 전체적인 결과를 추정하는 방법 |
⑥ 간접 검사 | 이미 다른 목적으로 검사된 것을 현재의 조사 목적에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것 |
⑦ 완화 검사 | 전수 또는 발췌 검사에 있어서 각각의 조사 대상에 대하여 중요 항목 일부 또는 각 기기별로 상이한 항목을 적용하여 검사하는 방법 |
3) 고장 진단 방법
① FLT(Fault Location Test) 방식 | 대형 컴퓨터 등의 CPU에 사용되는 고장 진단 방식 |
② 기능 진단 방식 | 기기별로 규격에 규정된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는지를 시험하는 방식 |
③ 마이크로 진단 방식 |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각 회로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시험하는 방식 |
[참고] 유지 보수 절차의 흐름
1단계(Record & Assign Step) | 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문제점 파악 |
2단계(Analyze Step) | 자체 해결을 시도한 후 미해결시에는 고장 처리 접수 센터에 서비스 요청 |
3단계(Solution Step) | 유지 보수 센터 또는 자체적으로 해결책 검토 후 통지 |
4단계(Control Step) | 제시된 해결책에 의한 조정 및 통제 후에는 일련의 과정을 문서화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Feedback 과정을 거침 |
(3) 안전관리
1) 재해 방지 대책
① 내진 대책 | 진동가속도 250gal(진도 5에 상당) 정도에도 시스템 운영상 지장이 없어야 하며, 400gal(진도 6에 해당) 정도에는 오동작 가능성이 있더라도 진동 이후에는 재사용이 가능해야 함 |
② 방화 대책 | 정보 기기 관련 시설은 전기 배선이 연결되어 있어서 화재 발생시 스프링쿨러로 진화를 하게 되면 합선 및 감전 등으로 사고가 확대될 수 있으며, 분말 소화기의 분말은 정상적인 기기에도 손상을 끼칠 수 있으므로 하론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 소화기를 준비해 두어야 함 |
(펌)